🍪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키워드 🍪 : 쿠키 = 간식 상자에 있는 낱개씩 있는 쿠키 🗃 : 세션 = 창고에서 꺼내 먹는 초코파이 같은 과자 키워드 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할까? 더보기 HTTP 프로토콜을 보완하기 위해 ! ( connectionless, stateless ) 그래서 뭐가 좋아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요! 🍪쿠키와 🗃세션의 특징 더보기 쿠키의 저장 위치는? = 개인 PC 세션의 저장 위치는 ? = 접속중인 웹서버! 쿠키의 특징은 ? 👍🏼 서버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 👎🏼 개인 PC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 용량에 제한이 있음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변경할 경우 다른 웹 브라우저에 저장한 쿠키를 사용할 수 없음 세션의 특징은 ?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보.. [Like 5] DB 피드백 정리 이번 프로젝트 DB 피드백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각 DB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AS-IS TO-BE 배운 점 소셜 로그인 ( 카카오, 네이버 ) 로컬 로그인 + 소셜 로그인 카카오, 네이버 없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으니까 기본적으로 로컬 로그인 기능 구현은 구현하기 board 테이블의 board_content 컬럼의 데이터 타입 VARCHAR2(4000) CLOB으로 변경 HTML 태그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VARCHAR2(4000)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CLOB이라는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자 태그 테이블과 board 테이블 연결 관계 태그와 board 테이블의 연결 관계는 해제하고 board 테이블에 태그명이라는 컬럼 추가 태그 테이블은 조회 용도로만 가져오기, b.. 🍎🔖@어노테이션 (Annotation) 어노테이션은 이전 포스팅에서 깐 다룬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제대로 파헤쳐보겠습니다.😊 어노테이션 맛보기 🚗오버라이딩과 🏠오버로딩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오버라이딩 🚗? : 엄마 차를 내 마음대로 꾸미고, 활용하는 것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내 입맛대로 "재정의"하는 것 오버라이딩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지식 오버라이딩의 특징 오버 seongeun-it.tistory.com 키워드 🍎🔖어노테이션이란? 어노테이션의 탄생 배경 왜 어노테이션을 🍎🔖사과에 비유했을까? 어노테이션의 대표적인 예) @Override 어노테이션의 장점👍 메타 어노테이션의 종류 3개 🍎🔖어노테이션이란? Annotation은 프로그램 내에서 주석과 유사하게,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프로그래머에게 유의미한.. 🔗GET과 📝POST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이건 꼭 언급해주세요 GET은 URL 노출 O , POST는 URL 노출 X 🔗 GET은 가져오는 것 Select적 성격 == 조회 왜 🔗인가요? = 인터넷에서 본 물건을 친구에게 보여줄 때(get방식) URL로 보내기 때문이에요. 📝POST는 수행하는 것 DML적 성격 == 생성, 수정, 삭제 왜 📝인가요? = 회원 가입처럼 개인정보가 담긴 내용을 제출(post방식)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이에요.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url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노출이 되는지, 그렇지 않은지입니다. 🔗GET 방식의 경우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바꾸지 않습니다. 게시판의 리스트라던지 글 보기 기능 같은 것이 해당됩니다... 제네릭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제네릭은 뭘까? 제네릭을 왜 사용할까? 제네릭의 장점은? 객체 타입의 안정성 형변환 하는 절차 생략 가능 사용하는 시점에 어떤 자료형을 사용할 것인지 지정하는 방식! 제네릭은 어떤 값이 하나의 참조 자료형이 아닌 여러 참조 자료형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입니다. 제네릭은 마치 메소드 안에서 매개변수와 비슷하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는 어떠한 변수에 들어갈 값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면, 제네릭은 그 변수의 데이터 타입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즉 어떤 변수가 여러 참조 자료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Object 클래스를 사용하면 다시 원래 자료형으로 반환해 주기 위해 매번 형변환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왜 형변환 해야할까? 더보기 모든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는 Object이기 때문에 제네.. 🎁컬렉션 프레임워크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컬렉션이란? 컬렉션을 왜 쓸까? 배열과 컬렉션의 차이점 컬렉션의 장점 컬렉션의 종류 3가지 🧮List 순서가 있는 자료 관리 중복 허용 index의 개념이 내재되어 있음 값이 저장될 때 순서가 유지 되면서 저장 ArrayList 💰Set 담고자하는 값만 저장 값 저장 시 순서 유지 X 아이디처럼 중복되지 않는 객체를 다루는 데 사용 HashSet 🧩Map 검색용 자료 구조 키(key) + 내가 담고자 하는 값(value) 세트로 저장! 값 저장 시 순서유지 X key 중복 값 허용 안됨! HashMap Propertise 🎁컬렉션이란? 자료구조가 내장되어 있는 클래스로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 "를 담당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컬렉션을 왜 쓸까? 데이터들의 추가, 삭제, 수정이 되는 기능(.. HTTP와 HTTPS의 차이점, 그리고 SSL Handshake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HTTP와 HTTPS의 차이점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암호화, 인증 어떻게 암호화할까? 대칭키 대칭키의 문제점 공개키 어떻게 인증할까? HTTPS를 인증해주는 기관 CA , 브라우저에 내장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신뢰하기 위해 하는 일 대칭키와 공개키를 혼용하는 이유 대칭키로 암호화, 공개키로 검증 가능 HTTP와 HTTPS의 차이점 HTTP와 HTTPS는 🔐암호화 과정의 유무로 구분지어집니다. 암호화 과정이 없는 방식이 HTTP, 암호화 계층을 거쳐 패킷을 암호화하는 방식은 HTTPS입니다. HTTPS의 S는 Secure를 의미합니다.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HTTPS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낸 정보들을 제3자가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할 수 .. TCP 3, 4 way handshake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SYN / ACK / 프로토콜 / TCP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같이 곁들이면 좋은 포스팅입니다 :) 개발에 사용되는 약어 정리 개발 약어 정리 헷갈리는 개발 약어들을 정리한 페이지입니다. www.notion.so 공부하면서 만난 약어들을 이 곳에 정리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가져가셔도 좋습니다 ! * 출처는 꼭 ! 남겨주세 seongeun-it.tistory.com OSI7계층과 그 존재 이유, TCP/IP 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OSI의 정의 하위 계층 / 상위계층 OSI 7계층의 장점 Application Layer = 응용계층 - Application이란? 입력/ 가공 표현계층 = 어떤 언어로 작성할지 / encoding / 암호화 / 압축 세션계층 = 어떤 방식으로. seongeun.. GC가 무엇인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동작방식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GC가 무엇인지 JVM의 어떤 영역에서 작동하는지 GC의 장점은? - 메모리 누수 왜 GC를 도입하게 되었는지? - managed Language Mark and sweep - GC Roots Unreachable Heap 영역의 구조 - Young Generation - Minor GC | Old Generation -Major GC 참조 카운팅 GC의 종류 - Stop the world - Serial GC GC는 가비지 콜렉션의 약자로, JVM의 Heap영역에서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즉,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해주는 작업의 총칭이며, 메모리 누수== memory Leak 를 막아 안정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C언어등과 같은 오래된 언어에서는 개발자가 직접 .. OSI7계층과 그 존재 이유, TCP/IP 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OSI의 정의 하위 계층 / 상위계층 OSI 7계층의 장점 Application Layer = 응용계층 - Application이란? 입력/ 가공 표현계층 = 어떤 언어로 작성할지 / encoding / 암호화 / 압축 세션계층 =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지 - 논리적인 통신 회선 트랜젝션계층 (전송계층) = 포트 번호 / TCP/UDP 네트워크계층 = IP 주소 - IP 약자 - 논리적인 주소 데이터링크계층 = Mac 주소 - MAC 약자 물리계층 = 디지털 신호 → 전기 신호 Encapsulation TCP/IP 4계층 → 5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이라는 뜻으로 ( 열려있는 시스템, 설계나 동작 원리가 오픈되어 있고, 보편적으로 인.. JVM의 구조와 Java의 실행방식을 설명해주세요. 키워드 JVM란? JVM의 역할 - 운영체제 상관없이 실행 가능,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 가능 Java의 실행 방식 - 바이트 코드 / 클래스 로더 / Execution engine / Runtime Data Area JVM의 구조 - 5가지 영역 ( Class Loader, Execution engin, Runtime Date Area, JNI, Native Method Library ) Runtime Date Area - 5가지 영역 ( Method, Heap, Stack, Native Method Stack, PC register) JVM이란? + Java의 실행방식 Java Virtual Machine JVM은 자바 가상 머신의 약자로 JVM의 역할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클래스 로더를 통해 읽어 자.. 웹 통신의 큰 흐름 : https://www.google.com/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일 가장 많은 질문이 나온다는 웹 통신의 큰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개발자분께서는 이 부분을 100개로 이야기하실 수 있다고 하셨지만, 일단 우리는 8가지 과정을 압축해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의 숲은 큰 맥락, 나무는 디테일한 내용으로 나누었습니다. 숲 1. 브라우저 창에 검색 2. 이에 대응하는 IP 주소 찾아냄 3. 만약 IP 주소 찾지 못했을 경우? 그래도 무조건 찾아냄 4. 브라우저 - 서버간 다리 연결 5. 브라우저, 웹 서버에 요청한 내용들을 전송함 6. 서버, 요청 수락 ㅇㅋ 이후에 응답을 생성함 7. 서버, 다시 브라우저에게 응답을 보냄 8. 브라우저 응답된 내용들 보여줌 나무 대략적인 맥락이 파악이 되었다면, 하나하나 자세하게 보겠습니다. 1번과 8번 과정을 간략하게 생..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