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 화면
로컬에서는 에러가 안 나는데 서버에 올리니까 이런 에러가 난다.
websocket connection to failed
npm run serve하면 해당 에러는 발생하지 않지만, api 서버를 찾을 수 없다.
나의 추측으로는 npm run serve 했을 때 development를 바라보는 것 같다.
devServer: {
//proxy: 'http://localhost:8081' // api 서버 포트 번호로 지정
proxy : process.env.VUE_API_URL || 'http://192.168.50.101:8080'
},
그래서. env.development를 다음과 같이 변경했다.
혹시 몰라 VUE_API_URL= 부분을 주석처리 했는데도 동일하게 에러 발생했다.
아니 근데 또 error 남 ..
나는 심지어 websocket 쓰지도 않는데..ㅠ..
이걸로 해결했다. 감사합니다!
npm run server 하면 웹팩의 dev서버로 돌아가고, 이때 웹팩이 웹소캣을 쓰고 있다.
1초마다 화면 바뀌었어?? 하면서 물어보는 사람처럼 파일이 변경될 때 다시 로드하기 위해 웹소켓으로 체크하는 거 같다.
react Websocket connection failed (webpack)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리고 나서 화면은 정상으로 떳지만 계속해서 Websocket 오류가 났다..문구는 아래와 같았는다WebSocket connection to 'wss:/서버주소:3000/ws' failed: WebSocketClient.js:16 왜 나는 웹소켓을
velog.io
참고 블로그
https://yamyam-naengmyeon-donkats.tistory.com/87
[vue] npm run serve 입력 시
npm run serve 입력 시 localhost:8080, 즉 내 호스트에 뷰 프로젝트를 띄워준다. 이건 어디서 띄워주는 건지 궁금해서 알아봄 vue project 생성시 자동으로 package.json이 생성된다. 위 사진이 package.json의 일
yamyam-naengmyeon-donkats.tistory.com
'🏰 Back-end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org.elasticsearch.bootstrap.StartupException: java.lang.RuntimeException: can not run elasticsearch as root (0) | 2023.03.26 |
---|---|
[Docker] Docker로 Redmine 구축하기(Ubuntu 18.04 / redmine 5.0.4 / mariaDB 10.5) (3) | 2023.01.19 |
[Linux]기초 명령어 정리 (1) | 2022.12.24 |
[Linux] NPM(Nginx Proxy Manager)설치 (0) | 2022.12.02 |
[Tomcat] xml 변경 시 톰캣을 재기동하는 이유 + 재기동 없이 적용하는 방법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