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의 개념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정보의 송수신 측에서 정해 둔 통신 규칙이다.
사람과 사람이 통신할 때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언어, 공용된 언어를 사용해 전 세계 모든 사람과 대화할 수 있다.라고 하면 컴퓨터와 컴퓨터도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해야한다. 이것이 바로 프로토콜이다.
다른 기종(=이 기종) 장비는 각기 다른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데,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다른 기기 간 정보의 전달을 표준화할 수 있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 전송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함 의미 전송 제어와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함 타이밍 두 개체 간에 통신 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시지 전송 및 순서도에 대한 특성을 가리킴
IP
-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며 비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 신뢰성이 부족한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IP의 한계) 때문에 상위 프로토콜(=4 계층, 전송계층)에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 기능 : 패킷 분해/조립,호스트 주소 지정, 경로 선택(= 라우팅 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라우터!)
즉, TCP는 IP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TCP/IP의 구조(=인터넷 모델 계층)
링크 계층
- 프레임 송수신
인터넷 계층
- 주소 지정, 경로 지정, 폭주 제어 기능을 구행하는 비연결형 패킷 전달 서비스를 제공
IP | 주소 지정, 경로 배정, 폭주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비연결형 패킷 전달 서비스 |
ARP | IP Address를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MAC)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논리 -> 물리 |
RARP | 물리적 주소를 논리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물리 -> 논리 |
🔥ICMP | IP 프로토콜에서 오류 보고와 오류 수정 기능,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메시지는 하위 계층으로 가기 전에 IP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내에 캡슐화 된다. |
전송 계층
- 호스트간 통신을 제공한다
TCP | 정확한 패킷 전송을 위해 패킷 헤더 부분에 추가 정보를 포함하여 연결 확인 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신뢰성 서비스 TCP를 사용하는 이유는? IP가 비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
UDP | 패킷 해더에 정보 X, 따라서 비신뢰성 전송 방식이다. 하지만, TCP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동영상 스트리밍, 화상 채팅과 같이 데이터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 FTP, SMTP, SNMP, Telnet
728x90
'📓 Study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잭션 (0) | 2021.10.29 |
---|---|
집계 함수 (0) | 2021.09.28 |
데이터베이스 개념, 관리 시스템, 스키마 (0) | 2021.09.20 |
운영 체제의 종류 및 Shell Script (0) | 2021.09.19 |
프로세스 스케줄링 (0) | 2021.09.18 |
댓글